2009년 12월 31일 목요일

이제는 우리 안의 "공정성"이라는 심리적 기제를 깨야 할 때. 책 "야성적 충동"을 읽다가 문득.

 

 읽으면서 책이 조금 어렵다고 여겼던, "야성적 충동" 다시 읽기 위해서 들었다. 이번에는 제대로 책을 음미하면서 읽자는 생각이 번째 이유요. 번째 이유는 지금은 책을 이해하는데 조금은 쉽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다. 아직 페이지 읽지는 않았지만, 역시 머리 속에 지우개는 무적의 성능을 자랑한다. 희미하게 지워졌던 기억은 어렴풋이나마 내용이 떠오르면서 이해의 깊이나 생각의 깊이를 더할 여지를 주지만, 백지처럼 지워져 버린 기억은 책의 내용이 새롭게 느껴지게 만든다. 책을 이해하지 완전히 소화하지 못했더라도, 읽은 후에 리뷰를 써가면서 생각을 정리하고 느낌을 남겼더라면 많은 기억을 있었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책의 리뷰를 쓴다는 것은 너무나 힘겨운 작업이고 고역이기에 쉽게 수가 없다. 그렇게 리뷰를 쓰지 않고 넘어갔던 책들만 해도 너무 많은데, 지금 생각해보면 좋은 책들에 대한 리뷰는 억지로라도 썼어야 한다는 후회가 밀려온다.

 

 여기까지 잡설은 끝내고, "야성적 충동" 요소인 "공정성"이라는 놈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해야겠다. 그렇다고 거창한 이야기를 하려는 것도 아니고, 책의 주제와 비슷하게 행동 경제학적 관점으로 거시경제에서 "공정성" 이야기하려는 것도 아님을 우선 말해야겠다. 왜냐하면 나는 경제학도도 아니고 여전히 "야성적 충동" 읽고 있는 중이며, 그렇다고 읽은 부분을 완전히 이해했다고 말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내가 이야기 하려는 것은 최근에 자주 가는 사이트에 고민 상담 게시판의 고민과 거기에 대한 답변을 보면서 느낀 것들이다. 그리고 거기에 책에서 말하는 공정성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문득 책을 읽다가 떠오른 생각들을 글로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우선 책에 나온 "공정성" 대해서 설명부터 필요가 있을 같다. 우선 경제학에서는 공정성이 필요한 부분이 "교환이론"이다. 우리가 물건을 거래할 , 물물교환의 시대에는 거래하는 각각의 물건의 가치가 비슷해야지 거래가 성립한다. 화폐가 교환의 매개물로써 활용되고 있는 현재에는 교환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화폐가치가 된다. 물건의 가치가 화폐로 환산되고, 그렇게 환산된 화폐가치를 통해서 물건과 교환이 이루어진다. 물물교환의 시대와 마찬가지로 교환이론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물건이 가지는 화폐가치를 구매자가 화폐로 지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물건이 가치는 화폐가치와 지불된 화폐가 같을 , 공정할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사회학에서도 "공정성" 다른 이론이 있는데 그것을 "형평이론"이라고 한다.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면, "끼리끼리 논다" 말로 모든 것을 축약할 있다. 말은 자신의 수준이나 능력에 맞게 사람을 사귀는 경향을 말한다. 인간관계에도 어느 정도의 공정성을 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보통 자신의 능력이나 처지보다 나은 사람을 친구로 하면 알게 모르게 사람이 움추려드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자신이 친구에게 받은 것에 비해 자신은 그것 만큼 친구에게 없기에 스스로 차이를 인식하고 미안한 생각에서 표현된 것이다. 차이를 채우기 위해서, 잘사는 친구에게 과도하게 친절하거나 아부를 하는 것을 통해서 공정하게 만든다. 자기보다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 앞에서 수동적이고 작아지는 순응하는 자신의 모습을 생각해본다면 쉽게 이해할 있다. 책의 저자들은 "어떤 문화권에서 여성처럼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순종하는 설명한다" 했다.

 

 내가 주목한 것은 사회학에 있는 공정성 이론인 "형평이론"이다. 특히 저자들의 "어떤 문화권에서 여성처럼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순종하는 설명한다" 부분이다. 도대체 어떤 고민이기에 내가 부분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것일까? 그것은 "입시"문제에 질문과 답변을 보면서다. 대체로 "학벌사회" 문제점을 인식하고 비판하면서도 질문하는 사람이나 답변하는 사람이나 스스로가 철저하게 "학벌사회" 굴레에 순응하고 산다는 점이다. 이제 사회에 발을 디디려는 3 학생들이야 사회를 보는 시선이 부족하고 철저하게 주입식 교육으로 단련되어 있기에 그렇다곤 쳐도 20대들의 답변 자체는 실망 자체였고, 화가 났다.( 사이트가 20대가 많이 이용하는 사이트다.)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문제가 무엇인지 알면서도 그것을 바꾸려고 발버둥 치기보다는 사회에 순응하는 20대들의 패기 없음에 크게 실망했다. 가장 혈기 왕성해야 하고 가장 도전적이면서 사회의 문제에 "대듦" 해야 이들이 죽어 버린 것이다.

 

 결국 그들은 문제에 대해서 욕만 알았지, 문제를 해결할 의지도 열망도 없는 순응자가 되었고, 노예가 되어버렸다. 이렇게 됨으로써 그들 스스로가 자신의 한계를 명확히 자신의 발전가능성 또는 잠재력을 억누르면서 살게 된다. 결국에 그들이 비판하고 욕하는 "학벌사회"라는 것은 "형평이론" 안에서 본다면 스스로가 만든 것이 되어 버린다. 자신의 낮은 학벌을 만회하기 위해서 높은 학벌과 대결할 실력을 기르기보다는 학벌체제 안에서 순응하면서 스스로가 높은 학벌을 가진 사람들에게 공정하기 위해서 비겁한 처신하거나 순응하는 것이다. 결국 저자들의 "어떤 문화권에서 여성처럼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순종하는 설명한다"문장은 결국에 특정 문화권의 여성에게만 한정 것이 아니라 우리의 모습이 된다.

 

 공정성이라는 개념은 인간의 심리적 기제를 자극하면서 우리 스스로가 계층을 만들고 학벌사회를 만든 추동력이 것이다. 그래서 나쁜 세력이 자신의 기득권을 이용해서 만들어 사회의 모순이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가 공정성이라는 안에 갇혀 만들어낸 자기파괴적 결과물일지도 모른다. 단지 기득권들은 그런 결과물을 최대한 활용해서 자신들의 이익추구에 매진 했을 뿐이라는 것이 된다. 결국 우리가 먼저 싸워야 것은 사회의 모순이나 문제이기 보다는 우리 내면에 존재하고 있는 공정성이라는 심리적 기제가 아닐까? 자기 안에 공정성이라는 심리적 기제의 문제점을 제대로 인식하는 순간, 사회에 존재하는 모순과 문제점에 대해서 제대로 "대듦" 힘을 얻게 것으로 보인다. 모두가 깨어있는 인간이 되어 사회의 모순이나 문제 "대듦" 있기를 바라며.

 

 

참고 서적 :

 

 

야성적 충동 - 10점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J. 쉴러 지음, 김태훈 옮김, 장보형 감수/랜덤하우스코리아

댓글 2개:

  1. 음...현대 사회내에서 공정성이 배제된 사례 찾기가 어려울지 알았는데 의외로 많군요.

    답글삭제
  2. @전율의신 - 2010/01/15 02:54
    어떤 관점에서 찾냐가 문제가 될 수 있을거 같은데, 사회학에서 말하는 형평이론을 바탕으로 한다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