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8월 10일 일요일

자신과 경쟁하는 힘. "자기암시"를 읽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흔히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말한다.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말인데, 과연 우리가 과연 사회적 동물 처럼 살아가고 있는 걸까? 관계라는 것은 개인보다는 협력과 협동 그리고 소통이라는 관점의 말일 텐데, 이런 관계보다는 경쟁을 위한 , 정복을 위한, 단지 먹이 피라미드를 구성하는 관계를 지칭하는 듯한 것이 현대사회가 아닐까? 학생들에게도 관계의 중요성보다는 경쟁의 중요성만을 가르치고, 동료와 친구라는 인관 관계보다는 경쟁상대라는 전투적 관점을 가르치는 것이 능사라고 생각한다. 이성 없이 본성으로 살아가는 야생의 동물 세계를 우리사회에 그대로 적용시키면서 그것이 발전과 진보를 위한 최고의 수단인 처럼 착각한다. 다윈에 의해 탄생한 다위니즘의 적자생존만을 맹신해 관계사회를 파괴하면서 먹이 피라미드를 단단하게 고착화 시킨다.


 결국에 이렇게 만들어진 치열한 경쟁사회와 계층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한 이들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그의 자손들도  고리 속에서 허우적대게 만들어 버린다. 누구에게나 이런 고리를 끊어버린 가위는 공부라는 것인데, 어제부터인가 이것이 돈이라는 놈의 파워게임이 되면서, 낮은 계층의 사람에게 가위조차 쉽게 구할 없는 것이 되어 버렸다. 상위 계층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계층을 단단하게 만들어 자식들에게 물려주기 위해서 학군이 좋은 쪽으로 이동을 하고, 그로 인해서 좋은 학군지역의 가격은 천문학적으로 뛰어 버렸다. 이것이 한국이라는 나라의 독특한 상황만이 아니다. 크루그먼은 "미래를 말하다"라는 책에서 문제를 언급하고 있고, 영국은 명문 사립학교를 보내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고 한다.


 세계화라는 이름으로 경쟁의 환경과 공간이 지구로 확대되면서 이러한 경쟁에 대한 과도한 압박은 현대인들을 짓누른다. 거기에 모기업총수가 주창하는 인재관이 사회전체 퍼지면서 노예를 사육하듯 사회시스템이 인재를 찍어내려고 한다. 미래는 창의적 인재가 필요하다고 그렇게 외쳐본들 암기와 주입식 교육에 익숙한 한국사회는 그런 경쟁시스템을 최상으로 여긴다. 경쟁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 한국 청소년들의 자살률은 세계최고를 기록함에도 불구하고, 그런 소중한 생명들에 대한 고민을 수가 없다. 여전 적자생존만을 외치면서 낙오자에 대해서는 어떤 동정이나 관심은 없다. 그저 낙오자란 주홍글씨만을 세기고, 남아 있는 아이들에게 낙오자의 끝이란 이런 것이라는 알려주기 위한 사례일 뿐이다.


 가끔은 경쟁의 상대가 주변의 타인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뛰어난 스포츠 선수들이 승리를 거두고 하는 흔한 멘트겠지만,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자 경쟁상대는 자기자신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자기자신을 경쟁상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음을 물론이고, 스스로가 자신에 대한 인식을 바로 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단지 경쟁의 목표나 상대가 눈에 쉽게 보이기에 경쟁의 대상을 주변의 타인이나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인간을 선택하는 뿐이다. 어떤 면에서 실패나 좌절에 대한 분노의 방출구나 핑계거리로 자신보다는 타인이 쉽게 인식함은 물론이고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수도 있다.


 하지만 자신과의 경쟁에게 이긴다는 것은 쉽지 않다. 공부에서는 점수가, 스포츠에서는 개인기록이 쉽게 눈에 띄면서 목표를 쉽게 잡지만, 자신을 이기기 위한 기준은 무엇이고 무엇을 목표로 잡아야 할지 난감하다. 스스로의 깊이를 없기에 자신 속으로 과감하게 뛰어드는 것이 두렵기만 하다. 어떤 경우는 자신에 대한 경쟁의식이 자기혐오나 자기부정을 만들기도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는 다른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지 않을까?


 경쟁이라는 단어에 너무 집착해서 스스로를 경쟁의 안에 가둘 필요는 없다. 에밀 쿠에는 100여년 전에 벌써 경쟁이라는 단어를 넘어서 자신을 극복하는 법을 발견했다. "자기암시". "시크릿"이라는 책을 봤다면 알겠지만, 그것의 원조라고 있다. 자기의 상상의 세계에 긍정적인 신호를 지속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있다는 것이다. 에밀 쿠에는 경쟁이라는 단어보다는 격려와 긍정의 힘을 발견한 것이다. 자신에게 긍정적 상상의 신호를 줌으로써 마음 속에 자신에 대한 자신감이라는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그것이 자신을 이기는 가장 중요한 힘이요 추진력인 것이다.


  토드의 "사람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마음이며 마음을 결정하는 것은 습관이다."라는 말을 했는데, 습관이라는 것이 긍정적 자기암시다. 에밀 쿠에는 " 원하는 일을 자유롭게 있도록 준다고 믿는 '의지' 우리는 자랑스러워 하지만 사실 우리는 상상의 조종을 받는 꼭두각시에 불과하다. 상상을 다루는 법을 배울 비로소 꼭두각시 놀음을 멈출 있다." 했다. 꼭두각시가 아니라 자신의 상상을 다루는 습관을 들이고 스스로의 인생의 주인이 되기 위해서 긍정적인 상상으로 자신을 변화시켜보자.

자기암시 - 6점
에밀 쿠에 지음, 김수빈.최준서 옮김/하늘아래

댓글 없음:

댓글 쓰기